February 02, 2022
이전부터 Spring Boot로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이번에 HereTogether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본격적으로 Spring Boot에 대해 공부 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 즉 Spring Boot로 Project 생성하기가 이 프로젝트의 첫 걸음이 될 것 같다.
Spring Boot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선 start.spring.io로 가서 원하는 Dependency를 선택해야한다.
-> 가독성이 Gradle이 훨씬 좋기 때문에 나는 Gradle을 선택하였다.
이후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intellij나 eclipse에서 open해준다.
.properties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나는 indentation으로 구분하는 yml방식이 조금 더 가독성이 좋아 보였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MySQL을 사용하기로 했으므로, MySQL 연동을 위해 yml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DB이름)?serverTimezone=UTC&characterEncoding=UTF-8&useSSL=false
username: (DB유저이름)
password: (DB유저비밀번호)
driver-class-name: com.mysql.jdbc.Driver
해당 파일은 src/main/resources에 위치해야한다.
나는 API서버를 만들 예정이기 때문에 해당 서버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package heretogether.server.hello;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listController {
@GetMapping("/test")
public String welcome(){
return "Server Connected : Test Finish";
}
}
Postman으로 GET요청을 보낸 결과 서버가 잘 도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