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ptember 05, 2022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고 한다. IoC(제어의 역전)에서 다루었지만 우리가 직접 new를 통해 생성하는 객체가 아닌, Spring IoC 컨테이너에 의하여 생성, 관리 되는 자바 객체이다.
스프링 빈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객체 생성 -> 의존관계 주입
따라서 스프링 빈은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관계 주입이 다 끝난 다음에야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하지만 개발자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 된 시점, 스프링 빈이 소멸되기 직전 시점 등을 알기 위해 해당 시점을 알게해주는 기능을 콜백 메서드를 통해 제공한다.
1.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2. 스프링 빈 생성
3. 의존관계 주입
4. 초기화 콜백 : 빈이 생성되고, 빈의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후 호출
5. 사용
6. 소멸전 콜백 : 빈이 소멸되기 직전에 호출
7. 스프링 종료3가지 방법을 소개할 것이지만, 결국 맨 마지막에 소개하는 @PostConstoructor, @PreDestory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두 interface를 implements하면 afterPropertiesSet(), destory()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onfig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Bean(initMethod = "초기화콜백메서드", destoryMethod = "소멸전콜백메서드")
public MyBeanClass myBeanClass(){ }
}사용하고 싶은 초기화 콜백 메서드(@PostConstructor)와 소멸 전 콜백 메서드(@PreDestory) 위에 위에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콜백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빈 스코프란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기본적으로 스프링 빈은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웹 관련 스코프